집에가고싶은사람의 블로그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6 본문
2024년도 실기문제를 학습한 AI를 통해 생성한 내용입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7번
회차: 2024-1회차의 7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의 내용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용어를 영문 약자로 작성하시오. 코드:
1.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이다.
2.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된다.
3.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TCP 포트 179를 사용한다.
4. 경로 벡터 프로토콜로 분류되며, 경로 선택 시 최단 경로가 아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BGP는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BGP는 경로 벡터 프로토콜로 분류되며, 최단 경로가 아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합니다. 또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TCP 포트 179를 사용합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15번
회차: 2024-1회차의 15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악성코드의 종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사용자 PC에 감염되어 키보드 입력 내용, 화면 캡처, 마이크/웹캠을 통한 도청 등을 수행하며,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유출한다. 또한 감염된 PC를 타 PC공격에 활용하는 좀비 PC로 만들기도 한다. 보기: ㄱ. 웜(Worm) ㄴ. 트로이목마(Trojan horse) ㄷ. 백도어(Backdoor) ㄹ. 바이러스(Virus) ㅁ. 랜섬웨어(Ransomware) ㅂ. 스파이웨어(Spyware) ㅅ. 루트킷(Rootkit)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스파이웨어(Spyware)는 사용자 몰래 설치되어 사용자의 PC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유출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주로 키보드 입력 내용, 화면 캡처, 마이크/웹캠을 통한 도청 등을 수행하며, 수집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좀비 PC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어 2차 피해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6번
회차: 2024-2회차의 6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Python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읽고 알맞는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def count_substring(string, sub_string):
count = 0
for i in range(len(string)):
if string[i:].startswith(sub_string):
count += 1
return count
input_string = "ABCDCDC"
substring1 = "CDC"
substring2 = "CD"
output = f"{substring1}{count_substring(input_string, substring1)}{substring2}{count_substring(input_string, substring2)}"
print(output)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주어진 코드에서 count_substring 함수는 문자열 string에서 부분 문자열 sub_string이 등장하는 횟수를 세는 함수입니다. startswith 메서드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각 위치에서 부분 문자열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 치할 때마다 count를 1씩 증가시킵니다. 최종적으로 input_string에서 substring1인 "CDC"가 1번, substring2인 "CD"가 2번 등장하므로, 출력 결과는 "CDC1CD2"가 됩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19번
회차: 2024-2회차의 19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C언어의 구조체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확인하여 알맞는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struct student {
char name[20];
int age;
struct student *next;
};
int main() {
struct student s1 = {"Alice", 20, NULL};
struct student s2 = {"Bob", 22, NULL};
struct student s3 = {"Charlie", 21, NULL};
struct student *head = &s1;
s1.next = &s2;
s2.next = &s3;
printf("%s\n", head->next->name);
return 0;
}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구조체 포인터를 이용하여 연결 리스트를 구성하였다. head는 s1을 가리키고 있으며, s1의 next는 s2를 가리키고, s2의 next는 s3를 가리킨다. 따라서 head->next->name은 s2의 name인 "Bob"을 출력한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16번
회차: 2024-2회차의 16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결합도(Coupling)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를 작성하시오.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이 배열이나 배열의 일부분을 통하여 자료를 직접 교환하는 경우의 결합도로서, 자료 구조가 변경되면 영향을 받게 되는 결합도이다.
( ) 결합도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공통 결합도(Common Coupling)는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이 배열이나 배열의 일부분을 통하여 자료를 직접 교환하는 경우의 결합도입니다. 이는 자료 구조가 변경되면 영향을 받게 되는 결합도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공통 결합도를 줄이고 모듈 간의 독립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5번
회차: 2024-2회차의 5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무선 랜 보안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프로토콜을 작성하시오. 코드:
- 무선 랜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 RC4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한다.
- 802.11i 표준 이전에 사용되었던 보안 방식이다.
- 암호화 키 길이는 64bit 또는 128bit를 사용한다.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WEP(Wired Equivalent Privacy)는 무선 랜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로, RC4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64bit 또는 128bit 길이의 암호화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WEP는 802.11i 표준 이전에 사용되었던 보안 방식이지만, 현재는 취약점이 발견되어 WPA나 WPA2 등의 보안 프로토콜로 대체되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3번
회차: 2024-1회차의 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결합도와 관련된 설명입니다. 보기에서 결합도가 낮은 순으로 나열하시오.
ㄱ. 공통 데이터를 통해서만 두 모듈이 상호작용하는 경우
ㄴ. 모듈 사이에 복잡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ㄷ. 두 모듈이 동일한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
ㄹ. 한 모듈이 다른 모듈 내부의 기능을 직접 참조하는 경우 코드: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결합도는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결합도가 낮을수록 모듈 간의 독립성과 재사용성이 높아집니다. 결합도가 가장 낮은 것은 모듈 간에 데이터 형식만 공유하는 경우(ㄷ)이고, 다음으로는 공통 데이터를 통해서만 상호작용하는 경우(ㄱ), 복잡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ㄴ), 다른 모듈 내부의 기능을 직접 참조하는 경우(ㄹ) 순입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3번
회차: 2024-2회차의 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SQL에 관한 문제이다. 아래 SQL 구문의 빈칸을 작성하시오. 코드:
테이블
고객 [고객번호(PK), 이름, 연락처, 주소]
주문 [주문번호(PK), 고객번호(FK), 주문일자, 주문금액]
새로운 고객이 가입하여 고객 테이블에 추가
INSERT INTO 고객 (고객번호, 이름, 연락처, 주소) [ ① ] (10001, '김철수', '010-1234-5678', '서울');
위에 새로운 고객이 주문을 하여 주문 테이블에 추가
INSERT INTO 주문 (주문번호, 고객번호, 주문일자, 주문금액) [ ② ] 1, 고객번호, SYSDATE, 50000 FROM 고객 WHERE 이름 = '김철수';
전체 주문 테이블 조회
SELECT * [ ③ ] 주문;
주문 취소로 인해 주문금액을 0으로 변경
UPDATE 주문 [ ④ ] 주문금액 = 0 WHERE 주문번호 = 1;
정답 및 해설보기
{'①': 'VALUES', '②': 'SELECT', '③': 'FROM', '④': 'SET'}
해설:
① VALUES: INSERT 문에서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② SELECT: INSERT 문에서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를 가져와 추가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③ FROM: SELECT 문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④ SET: UPDATE 문에서 수정할 열과 값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12번
회차: 2024-2회차의 12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의 표를 확인하여 HRRN 스케줄링의 평균 대기시간을 계산하여 작성하시오. 코드:
프로세스 | 도착 시간 | 서비스 시간
P1 | 0 | 3
P2 | 1 | 7
P3 | 3 | 2
P4 | 5 | 5
P5 | 6 | 3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HRRN 스케줄링은 각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으로 계산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부터 실행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이 변화합니다.
시간 | P1 | P2 | P3 | P4 | P5 |
---|---|---|---|---|---|
0 | 1 | ||||
3 | 1.57 | 1 | |||
5 | 1.71 | 1 | |||
10 | 1.67 |
평균 대기시간 = (0 + 4 + 0 + 7 + 11) / 5 = 4.4
## 회차: 2024-2회차 문제: 15번
회차: 2024-2회차의 15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C언어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확인하여 알맞는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int main() {
int arr[5] = {10, 20, 30, 40, 50};
int* ptr = arr;
int sum = 0;
for (int i = 0; i < 5; i++) {
if (i % 2 == 0) {
sum += *(ptr + i);
}
}
printf("%d", sum);
return 0;
}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위 코드에서 ptr은 arr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for 루프에서 i가 0, 2, 4일 때만 sum에 더해지므로, 배열의 0번째, 2번째, 4번째 요소인 10, 30, 50이 더해져 최종적으로 sum은 90이 된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20번
회차: 2024-1회차의 20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디자인 패턴은 무엇인가?
- 객체의 생성과 조합을 캡슐화해 특정 객체가 생성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로그램 구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 객체 생성 로직을 클라이언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객체 생성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다.
- 단계별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의 하나이다.
- Java에서는 생성자 대신 별도의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코드: None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Factory Method 패턴은 객체 생성 처리를 서브 클래스로 분리해 처리하도록 캡슐화하는 패턴이다. 객체의 생성 코드를 별도의 클래스/메서드로 분리함으로써 객체 생성의 변화에 대비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의 구현은 개별 클래스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설계이다. 스트래티지 패턴, 싱글턴 패턴,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사용한다. Spring에서는 Factory Method 패턴이 많이 사용된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11번
회차: 2024-1회차의 11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C언어의 알맞는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typedef struct {
char name[20];
int age;
float height;
} Person;
void initPerson(Person *p, const char *name, int age, float height) {
strcpy(p->name, name);
p->age = age;
p->height = height;
}
void printPerson(Person *p) {
printf("Name: %s, Age: %d, Height: %.2f\n", p->name, p->age, p->height);
}
void incrementAge(Person *p) {
p->age++;
}
int main() {
Person person;
initPerson(&person, "John", 25, 175.5);
printPerson(&person);
incrementAge(&person);
printPerson(&person);
return 0;
}
정답 및 해설보기
Name: John, Age: 25, Height: 175.50
Name: John, Age: 26, Height: 175.50
해설: 이 코드는 구조체(Person)를 정의하고, 구조체를 초기화하는 함수(initPerson), 구조체의 정보를 출력하는 함수(printPerson), 그리고 구조체의 나이를 1 증가시키는 함수(incrementAge)를 구현했습니다. main 함수에서는 Person 구조체 변수를 선언하고, initPerson 함수를 사용하여 초기화한 후, printPerson 함수로 출력합니다. 그 다음 incrementAge 함수를 호출하여 나이를 1 증가시키고, 다시 printPerson 함수로 출력합니다. 따라서 출 력 결과는 처음에는 "Name: John, Age: 25, Height: 175.50"이 출력되고, 두 번째는 나이가 1 증가한 "Name: John, Age: 26, Height: 175.50"이 출력됩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9번
회차: 2024-2회차의 9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 내용을 확인하고 보기에서 알맞는 답을 고르시오. 코드:
#include <stdio.h>
void func1() {
printf("첫 번째 함수 실행\n");
}
void func2() {
printf("두 번째 함수 실행\n");
}
void func3() {
printf("세 번째 함수 실행\n");
}
int main() {
func1();
func2();
func3();
return 0;
}
보기: 1. 병렬적(parallel) 2. 선택적(selective) 3. 순차적(sequential) 4. 반복적(iterative)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제시된 코드에서 main() 함수 내부를 보면, func1(), func2(), func3() 함수가 순서대로 호출되고 있습니다. 이는 순차적인 실행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각 함수의 실행이 이전 함수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므로,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4번
회차: 2024-1회차의 4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C언어에 대한 문제이다. 알맞는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stdio.h>
void printPattern(int n) {
for (int i = 1; i <= n; i++) {
for (int j = 1; j <= i; j++) {
printf("%d ", j);
}
printf("\n");
}
}
int main() {
int n = 5;
printPattern(n);
return 0;
}
정답 및 해설보기
1
1 2
1 2 3
1 2 3 4
1 2 3 4 5
해설: 주어진 코드는 1부터 n까지의 숫자를 삼각형 모양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외부 for문은 1부터 n까지 반복하며, 내부 for문은 1부터 현재 외부 for문의 변수 i까지 반복합니다. 각 줄에서는 1부터 i까지의 숫자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합니다. 따라서 n이 5일 때, 위와 같은 삼각형 모양의 숫자 패턴이 출력됩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8번
회차: 2024-1회차의 8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 내용의 각각의 설명에 대한 답을 작성하시오. 코드:
(1)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2) FROM절에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로 구분하여 나열한다.
(3) ( (2) )에서 검색 조건이 없으면 Cartesian Product가 발생한다.
정답 및 해설보기
1. 조인(Join)
2. 내부 조인(Inner Join)
3. 내부 조인(Inner Join)
해설:
(1) 조인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SQL 문법이다.
(2) 내부 조인은 FROM절에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로 구분하여 나열하는 방식으로 조인을 수행한다.
(3) 내부 조인에서 ON절이나 WHERE절 등으로 조인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면 모든 행이 조합되는 Cartesian Product(카티션 곱)가 발생한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9번
회차: 2024-1회차의 9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운영체제 페이지 순서를 참고하여 할당된 프레임의 수가 4개일 때 OPT와 FIFO 알고리즘의 페이지 부재 횟수를 작성하시오. 코드:
페이지 참조 순서 : 4, 7, 5, 7, 3, 5, 4, 5, 7, 3
정답 및 해설보기
{'OPT': 5, 'FIFO': 7}
해설:
OPT 알고리즘은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최적 알고리즘으로, 이 경우 페이지 부재는 5번 발생합니다.
FIFO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으로, 이 경우 페이지 부재는 7번 발생합니다.
두 알고리즘 모두 초기에 모든 프레임이 비어있다고 가정하고, 페이지 부재가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를 프레임에 할당합니다. 프레임이 가득 차면 각 알고리즘의 기준에 따라 페이지를 교체합니다.
## 회차: 2024-1회차 문제: 2번
회차: 2024-1회차의 2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C언어 코드에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int main() {
int a = 10, b = 20, c = 30;
if(a < b && b < c) {
a = a >> 1;
b = b >> 1;
c = c >> 1;
}else{
a = a << 1;
b = b << 1;
c = c << 1;
}
printf("%d", a+b+c);
}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조건식 (a < b && b < c)이 참이므로 if문 내부의 코드가 실행됩니다. a는 10을 오른쪽으로 1비트 시프트하여 5가 됩니다. b는 20을 오른쪽으로 1비트 시프트하여 10이 됩니다. c는 30을 오른쪽으로 1비트 시프트하여 15가 됩니다. 따라서 a+b+c의 결과는 5+10+15 = 30이 됩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11번
회차: 2024-2회차의 11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 그림을 바탕으로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노드 A에서 노드 F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고, 그 경로의 총 비용을 계산하시오.
A --5--> B --2--> C --4--> F
| | / | /
| | 3 | 5
| | / | /
6 D --2--> E
| /
| 1
| /
G
정답 및 해설보기
최단 경로 비용: 8
해설: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찾습니다.
1. 시작 노드 A의 거리를 0으로, 나머지 노드의 거리를 무한대로 초기화합니다.
2.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합니다. 처음에는 A가 선택됩니다.
3. 선택된 노드와 인접한 노드들의 거리를 갱신합니다. A와 인접한 B, D, G의 거리를 각각 5, 6, 7로 갱신합니다.
4. 이제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는 D입니다. D를 선택합니다.
5. D와 인접한 노드 B, C, E의 거리를 갱신합니다. B는 5에서 4로, C는 무한대에서 5로, E는 무한대에서 3으로 갱신됩니다.
6. 다음으로 선택되는 노드는 E입니다. E와 인접한 노드 C, F의 거리를 갱신합니다. C는 5에서 변화 없고, F는 무한대에서 8로 갱신됩니다.
7. 마지막으로 F가 선택되고, 알고리즘이 종료됩니다.
따라서, 최단 경로는 A - D - E - F이며, 총 비용은 6 + 2 + 5 = 8입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1번
회차: 2024-2회차의 1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Java 코드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확인하여 알맞는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new String[]{"A", "B", "C", "D"};
String[] b = new String[]{"A", "B", "C", "D"};
String[] c = a;
check(a, b);
check(a, c);
check(b, c);
}
public static void check(String[] a, String[] b) {
if (a==b) {
System.out.print("O");
}else{
System.out.print("N");
}
}
}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Java에서 배열은 참조 타입입니다. 따라서 배열 변수는 배열 객체의 주소를 저장합니다.
a와 b는 서로 다른 배열 객체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a==b는 false가 되어 "N"이 출력됩니다.
c는 a와 동일한 배열 객체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a==c는 true가 되어 "O"가 출력됩니다.
b와 c는 서로 다른 배열 객체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b==c는 false가 되어 "N"이 출력됩니다.
## 회차: 2024-2회차 문제: 2번
회차: 2024-2회차의 2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종속성을 감소시켜 향후 확장에 용이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법은? 코드:
CREATE TABLE 학생 (
학번 INT PRIMARY KEY,
이름 VARCHAR(50),
학과 VARCHAR(50),
주소 VARCHAR(100)
);
CREATE TABLE 수강내역 (
학번 INT,
과목코드 VARCHAR(10),
성적 VARCHAR(10),
PRIMARY KEY (학번, 과목코드),
FOREIGN KEY (학번) REFERENCES 학생(학번)
);
정답 및 해설보기
해설: 정규화는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종속성을 감소시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향후 확장에 용이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법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학생 테이블과 수강내역 테 이블로 분리하여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종속성을 낮추었습니다. 반면 반정규화는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거나 테이블을 합쳐서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데이터 무결성이 저하될 수 있는 기법입니다.
'정보처리기사 > 실기 예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30 (1) | 2024.09.30 |
---|---|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7 (0) | 2024.09.27 |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5 (1)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