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집에가고싶은사람의 블로그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30 본문
728x90
['2024-2회차', '2024-1회차', '2023-3회차', '2023-2회차', '2023-1회차']
회차: 2024-1회차 문제: 7번
1. 인터넷의 표준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이다.
2.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며 메일을 보내기 위해 TCP 포트 25번을 사용한다.
3. 메일 서버 간 또는 클라이언트와 메일 서버 간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문제: 다음은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장비명을 작성하시오.
1. LAN과 LAN, LAN과 WAN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이다.
2. OSI 7계층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3.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충돌 도메인을 줄여준다.
문제: TCP 헤더의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Sequence Number: 전송되는 데이터의 바이트 번호를 나타낸다.
나. Acknowledgment Number: 수신 측에서 예상하는 다음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낸다.
다. Window Size: 수신 측에서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라. Checksum: 세그먼트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한 필드로, 송신 측과 수신 측 모두에서 계산된다.
회차: 2024-1회차의 7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 아래의 내용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을 영문 약자로 작성하시오.1. 인터넷의 표준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이다.
2.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며 메일을 보내기 위해 TCP 포트 25번을 사용한다.
3. 메일 서버 간 또는 클라이언트와 메일 서버 간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해설: SMTP는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메일 서버 간 또는 메일 클라이언트 와 메일 서버 간 이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응용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메일을 보내기 위해 TCP 포트 25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SMTP는 이메일의 전송을 담당하며, 실제로 수신자의 메일 서버에 이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설: SMTP는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메일 서버 간 또는 메일 클라이언트 와 메일 서버 간 이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응용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메일을 보내기 위해 TCP 포트 25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SMTP는 이메일의 전송을 담당하며, 실제로 수신자의 메일 서버에 이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 다음은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장비명을 작성하시오.
1. LAN과 LAN, LAN과 WAN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이다.
2. OSI 7계층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3.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충돌 도메인을 줄여준다.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스위치(Switch)
해설: 스위치는 LAN과 LAN 또는 LAN과 WAN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입니다. 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브로 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충돌 도메인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송하며, 각 포트별로 독립적인 충돌 도메인을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해설: 스위치는 LAN과 LAN 또는 LAN과 WAN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입니다. OSI 7계층 중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브로 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충돌 도메인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송하며, 각 포트별로 독립적인 충돌 도메인을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문제: TCP 헤더의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Sequence Number: 전송되는 데이터의 바이트 번호를 나타낸다.
나. Acknowledgment Number: 수신 측에서 예상하는 다음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낸다.
다. Window Size: 수신 측에서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라. Checksum: 세그먼트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한 필드로, 송신 측과 수신 측 모두에서 계산된다.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라
해설: Checksum 필드는 세그먼트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한 필드이지만, 수신 측에서만 계산되고 검사됩니다. 송신 측에서는 Checksum을 계산하여 세그먼트에 포함시키고, 수신 측에서는 세그먼트를 받은 후에 Checksum을 다시 계산하여 송신 측에서 계산한 값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Checksum이 송신 측과 수신 측 모두에서 계산된다는 설명은 옳지 회차: 2023-2회차 문제: 19번
회차: 2023-3회차 문제: 15번
문제: 다음 중 UML에서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화살표가 아닌 것은?
회차: 2023-1회차 문제: 18번
회차: 2023-1회차 문제: 3번
회차: 2023-1회차 문제: 20번
회차: 2024-1회차 문제: 3번
ㄱ. 공통 데이터 영역을 통해서만 통신하는 결합도
ㄴ. 모듈 간의 관계가 상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결합도
ㄷ. 데이터 요소들로만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결합도
ㄹ. 모듈이 다른 하나의 모듈을 제어할 목적으로 참조하는 결합도
코드:
회차: 2023-3회차 문제: 1번
회차: 2024-1회차 문제: 13번
Categories 테이블:
코드:
회차: 2023-2회차 문제: 10번
보기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데이터베이스 객체 변경
회차: 2023-2회차 문제: 14번
회차: 2024-2회차 문제: 18번
회차: 2023-3회차 문제: 7번
회차: 2023-1회차 문제: 4번
XML 기반의 오픈 표준의 웹 서비스 프로토콜인 ( )는 플랫폼이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이며, 응용 프로그램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코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화면의 전환 없이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동적으로 화면을 갱신하는 기술 코드:
코드:
회차: 2023-1회차 문제: 8번
회차: 2023-2회차 문제: 12번
회차: 2024-2회차 문제: 6번
코드:
회차: 2023-2회차 문제: 20번
회차: 2023-2회차 문제: 13번
회차: 2023-2회차 문제: 1번
해설: Checksum 필드는 세그먼트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한 필드이지만, 수신 측에서만 계산되고 검사됩니다. 송신 측에서는 Checksum을 계산하여 세그먼트에 포함시키고, 수신 측에서는 세그먼트를 받은 후에 Checksum을 다시 계산하여 송신 측에서 계산한 값과 비교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Checksum이 송신 측과 수신 측 모두에서 계산된다는 설명은 옳지 회차: 2023-2회차 문제: 19번
회차: 2023-2회차의 19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파이썬 코드에서 알맞은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text = "python is powerful programming language"
a = text[0:6]
b = text[8:10]
c = text[-8:]
result = a + b + c
print(result)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pythonislanguage
해설: 주어진 코드에서 text 문자열을 슬라이싱하여 부분 문자열을 추출한 후 연결하여 result 변수에 저장합니다.
해설: 주어진 코드에서 text 문자열을 슬라이싱하여 부분 문자열을 추출한 후 연결하여 result 변수에 저장합니다.
- a = text[0:6]는 문자열의 0번 인덱스부터 6번 인덱스 이전까지 슬라이싱하여 "python"을 추출합니다.
- b = text[8:10]은 문자열의 8번 인덱스부터 10번 인덱스 이전까지 슬라이싱하여 "is"를 추출합니다.
- c = text[-8:]는 문자열의 뒤에서부터 8번째 인덱스부터 끝까지 슬라이싱하여 "language"를 추출합니다.
회차: 2023-3회차 문제: 15번
회차: 2023-3회차의 15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UML 다이어그램에서 볼 수 있는 화살표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쓰시오. ┌──────────┐ ┌──────────┐
│ Class A │ ───────>│ Class B │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의존(Dependency)
해설: UML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현되는 관계는 의존(Dependency) 관계를 나타냅니다. 의존 관계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사용하는 클래스가 변경될 때 영향을 받습니다. 위 다이어그램에서 Class A는 Class B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의존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설: UML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현되는 관계는 의존(Dependency) 관계를 나타냅니다. 의존 관계는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사용하는 클래스가 변경될 때 영향을 받습니다. 위 다이어그램에서 Class A는 Class B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의존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 다음 중 UML에서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화살표가 아닌 것은?
일반화(Generalization) | 실체화(Realization) |
연관(Association) | 상속(Inheritance)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상속(Inheritance)
해설: UML에서 클래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살표에는 일반화(Generalization), 실체화(Realization), 연관(Association) 등이 있습니다. 상속(Inheritance)은 UML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일반화(Generalization)가 상속 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화는 속이 빈 삼각형 화살표로, 실체화는 속이 빈 삼각형 점선 화살표로, 연관은 일반 실선 화살표로 표현됩니다.
해설: UML에서 클래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살표에는 일반화(Generalization), 실체화(Realization), 연관(Association) 등이 있습니다. 상속(Inheritance)은 UML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일반화(Generalization)가 상속 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화는 속이 빈 삼각형 화살표로, 실체화는 속이 빈 삼각형 점선 화살표로, 연관은 일반 실선 화살표로 표현됩니다.
회차: 2023-1회차의 18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언어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에 들어갈 용어를 작성하시오. 코드:언어 | 설명 |
---|---|
(1) | -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라고도 한다. - 스키 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를 정의하거나 변경 또는 삭제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 논리적 데이터 구조와 물리적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
(2) | -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라고도 한다. - 데 이터베이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로, 데이 터를 검색, 삽입, 삭제, 갱신하는 데 사용된다. |
(3) | -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라고도 한다. -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및 권한 제어를 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객체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 고 회수하는 명령어로 구성된다.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 'DDL', '2': 'DML', '3': 'DCL'}
해설:
-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데이터 정의어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 조작어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언어이다.
- DCL(Data Control Language)은 데이터 제어어로 데이터 보안, 무결성, 권한제어 등을 처리하는 언어이다.
해설:
-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데이터 정의어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 조작어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언어이다.
- DCL(Data Control Language)은 데이터 제어어로 데이터 보안, 무결성, 권한제어 등을 처리하는 언어이다.
회차: 2023-1회차 문제: 3번
회차: 2023-1회차의 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C언어의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
#include
int main(){
char* a = "abcdefg";
char* b = "bdfhijk";
for(int i = 0; a[i] != '\0'; i++){
for(int j = 0; b[j] != '\0'; j++){
if(a[i] == b[j]){
printf("%c", a[i]);
break;
}
}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bdf
해설: 이중 for문을 사용하여 문자열 a와 문자열 b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문자열 a의 각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 b에 같은 문자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같은 문자가 있다면 그 문자를 출력하고 안쪽 for문을 break로 빠 져나와 다음 문자를 비교합니다. 따라서 문자열 a와 문자열 b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인 b, d, f가 출력됩니다.
해설: 이중 for문을 사용하여 문자열 a와 문자열 b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문자열 a의 각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 b에 같은 문자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같은 문자가 있다면 그 문자를 출력하고 안쪽 for문을 break로 빠 져나와 다음 문자를 비교합니다. 따라서 문자열 a와 문자열 b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문자인 b, d, f가 출력됩니다.
회차: 2023-1회차 문제: 20번
회차: 2023-1회차의 20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자바 코드에 대한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class SuperClass {
int x = 100;
SuperClass() {
this(200);
}
SuperClass(int x) {
this.x = x;
}
void display() {
System.out.println("SuperClass: " + x);
}
}
class SubClass extends SuperClass {
int x = 300;
SubClass() {
this(400);
}
SubClass(int x) {
super(500);
this.x = x;
}
void display() {
System.out.println("SubClass: " + x);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bClass obj = new SubClass();
obj.display();
System.out.println(obj.x);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SubClass: 400
400
해설: SubClass의 인스턴스 obj가 생성될 때, SubClass의 기본 생성자가 호출됩니다. 이 생성자는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 SubClass(int x)를 호출하면서 인자로 400을 전달합니다. SubClass(int x) 생성자에서는 super(500) 을 호출하여 SuperClass의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를 호출하면서 500을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Super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는 500으로 초기화됩니다. 그 후에 SubClass(int x) 생성자에서 this.x = x;를 통해 Sub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를 400으로 초기화합니다. obj.display()를 호출하면 SubClass에서 오버라이딩된 display() 메서드가 실행되어 "SubClass: 400"이 출력됩니다. 마지막으로 System.out.println(obj.x);를 통해 Sub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의 값인 400이 출력됩니다.
SubClass: 400
400
해설: SubClass의 인스턴스 obj가 생성될 때, SubClass의 기본 생성자가 호출됩니다. 이 생성자는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 SubClass(int x)를 호출하면서 인자로 400을 전달합니다. SubClass(int x) 생성자에서는 super(500) 을 호출하여 SuperClass의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를 호출하면서 500을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Super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는 500으로 초기화됩니다. 그 후에 SubClass(int x) 생성자에서 this.x = x;를 통해 Sub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를 400으로 초기화합니다. obj.display()를 호출하면 SubClass에서 오버라이딩된 display() 메서드가 실행되어 "SubClass: 400"이 출력됩니다. 마지막으로 System.out.println(obj.x);를 통해 SubClass의 인스턴스 변수 x의 값인 400이 출력됩니다.
회차: 2024-1회차 문제: 3번
회차: 2024-1회차의 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결합도와 관련된 설명입니다. 보기에서 결합도가 낮은 순으로 나열하시오.ㄱ. 공통 데이터 영역을 통해서만 통신하는 결합도
ㄴ. 모듈 간의 관계가 상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결합도
ㄷ. 데이터 요소들로만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구성된 결합도
ㄹ. 모듈이 다른 하나의 모듈을 제어할 목적으로 참조하는 결합도
코드:
public class Module1 {
public static final int CONSTANT = 10;
public void method1() {
// ...
}
}
public class Module2 {
public void method2() {
int value = Module1.CONSTANT;
// ...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ㄴ, ㄱ, ㄷ, ㄹ
해설:
ㄴ. 자료 결합도(Data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자료 요소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결합도가 가장 낮습니다.
ㄱ. 스탬프 결합도(Stamp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공통 자료 구조를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ㄷ. 제어 결합도(Control Coupling):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수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ㄹ.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이나 데이터를 직접 참조하는 경우로, 결합도가 가장 높습니다.
해설:
ㄴ. 자료 결합도(Data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자료 요소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결합도가 가장 낮습니다.
ㄱ. 스탬프 결합도(Stamp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공통 자료 구조를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ㄷ. 제어 결합도(Control Coupling):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수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입니다.
ㄹ.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이나 데이터를 직접 참조하는 경우로, 결합도가 가장 높습니다.
회차: 2023-3회차 문제: 1번
회차: 2023-3회차의 1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Java 코드이다. 올바른 출력 결과를 작성하시오. 코드: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X y = new Y();
y.print();
y.display();
}
}
class X {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X");
display();
}
public void display() {
System.out.print("Y");
}
}
class Y extends X {
public void print() {
super.display();
System.out.print("Z");
this.display();
}
public void display() {
System.out.print("W");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YZWW
해설:
해설:
- main 메서드에서 Y 클래스의 인스턴스인 y가 생성됩니다.
- y.print() 호출 시, Y 클래스의 print() 메서드가 실행됩니다.
- Y의 print() 메서드에서 super.display()를 호출하므로, 부모 클래스인 X의 display() 메서드가 실행되어 "Y"가 출력됩니다.
- 다음으로 "Z"가 출력됩니다.
- this.display() 호출로 인해 Y 클래스의 display() 메서드가 실행되어 "W"가 출력됩니다.
- y.display() 호출로 인해 Y 클래스의 display() 메서드가 실행되어 "W"가 한 번 더 출력됩니다.
- 따라서 최종 출력 결과는 "YZWW"입니다.
회차: 2024-1회차 문제: 13번
회차: 2024-1회차의 1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아래 보기의 SQL 문장과 테이블을 참고하여 출력 값을 표로 작성하시오. Products 테이블:ProductID | ProductName | CategoryID |
---|---|---|
1 | Chai | 1 |
2 | Chang | 1 |
3 | Aniseed Syrup | 2 |
4 | Chef Anton's Cajun Seasoning | 2 |
CategoryID | CategoryName |
---|---|
1 | Beverages |
2 | Condiments |
SELECT ProductName
FROM Products
WHERE CategoryID = (SELECT CategoryID FROM Categories WHERE CategoryName = 'Condiments');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해설: SQL 문장에서 서브쿼리를 통해 Categories 테이블에서 CategoryName이 'Condiments'인 CategoryID를 찾습니다. 그 값과 일치하는 CategoryID를 가진 Products 테이블의 ProductName을 선택하여 출력합니다. 따라서 CategoryID가 2인 'Aniseed Syrup'와 'Chef Anton's Cajun Seasoning'이 출력됩니다.
ProductName |
---|
Aniseed Syrup |
Chef Anton's Cajun Seasoning |
해설: SQL 문장에서 서브쿼리를 통해 Categories 테이블에서 CategoryName이 'Condiments'인 CategoryID를 찾습니다. 그 값과 일치하는 CategoryID를 가진 Products 테이블의 ProductName을 선택하여 출력합니다. 따라서 CategoryID가 2인 'Aniseed Syrup'와 'Chef Anton's Cajun Seasoning'이 출력됩니다.
회차: 2023-2회차 문제: 10번
회차: 2023-2회차의 10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골라 작성하시오.CREATE | ALTER | DROP |
---|---|---|
( A ) | ( B ) | ( C ) |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데이터베이스 객체 변경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A)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B) 데이터베이스 객체 변경
(C)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해설: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명령어입니다. CREATE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명령어, ALTER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구조를 변경하는 명령어, DROP은 데이터 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A) 데이터베이스 객체 생성
(B) 데이터베이스 객체 변경
(C) 데이터베이스 객체 삭제
해설: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명령어입니다. CREATE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명령어, ALTER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구조를 변경하는 명령어, DROP은 데이터 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회차: 2023-2회차 문제: 14번
회차: 2023-2회차의 14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자바에 대한 문제이다. 알맞은 출력값을 작성하시오. 코드: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1 = "Hello";
String str2 = "Hello";
String str3 = new String("Hello");
String str4 = str3.intern();
System.out.println(str1 == str2);
System.out.println(str1 == str3);
System.out.println(str1 == str4);
System.out.println(str1.equals(str3));
}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true
false
true
true
해설:
str1과 str2는 모두 문자열 리터럴 "Hello"를 가리키므로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여 str1 == str2 는 true가 출력됩니다.
str3는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하므로 str1 == str3 는 false가 출력됩니다.
str4는 str3에서 intern() 메소드를 호출하여 상수풀에 있는 문자열을 참조하게 되므로 str1과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게 되어 str1 == str4 는 true가 출력됩니다.
equals() 메소드는 객체의 내용을 비교하므로 str1과 str3의 내용이 같기 때문에 str1.equals(str3) 는 true가 출력됩니다.
true
false
true
true
해설:
str1과 str2는 모두 문자열 리터럴 "Hello"를 가리키므로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여 str1 == str2 는 true가 출력됩니다.
str3는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하므로 str1 == str3 는 false가 출력됩니다.
str4는 str3에서 intern() 메소드를 호출하여 상수풀에 있는 문자열을 참조하게 되므로 str1과 동일한 객체를 참조하게 되어 str1 == str4 는 true가 출력됩니다.
equals() 메소드는 객체의 내용을 비교하므로 str1과 str3의 내용이 같기 때문에 str1.equals(str3) 는 true가 출력됩니다.
회차: 2024-2회차 문제: 18번
회차: 2024-2회차의 18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C언어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확인하여 알맞는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include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main() {
int result = 0;
int arr[] = {1, 2, 3, 4, 5};
for(int i = 0; i < 5; i++) {
if(i % 2 == 0) {
result = add(result, arr[i]);
}
}
printf("%d", result);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9
해설: add 함수는 두 정수를 더하는 함수입니다. main 함수에서는 배열 arr의 요소 중 인덱스가 짝수인 요소들만 result에 누적하여 더합니다. 따라서 1 + 3 + 5 = 9가 출력됩니다.
해설: add 함수는 두 정수를 더하는 함수입니다. main 함수에서는 배열 arr의 요소 중 인덱스가 짝수인 요소들만 result에 누적하여 더합니다. 따라서 1 + 3 + 5 = 9가 출력됩니다.
회차: 2023-3회차 문제: 7번
회차: 2023-3회차의 7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보 보안 용어를 작성하시오. 코드:1. 컴퓨터나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을 지키기 위해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찾아내어 대응하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한다. (영문 2단어)
2. 정보 시스템 자산들에 피해를 주는 위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산들의 취약점을 찾아내고 개선 계획을 수립 및 구현하는 위험 관리 활동을 의미한다. (영문 약어)
3.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한 대응책 중 하나로,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식별하고 필터링하여 정상적인 트래픽만 서버로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영문 3단어)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 Patch Management
2. VA (Vulnerability Assessment)
3. Traffic Cleaning Service
해설:
1. 패치 관리(Patch Management)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취약점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는 정보 시스템의 취약점을 식별, 평가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3. 트래픽 클리닝 서비스(Traffic Cleaning Service)는 DDoS 공격 시 비정상 트래픽을 걸러내고 정상 트래픽만 전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1. Patch Management
2. VA (Vulnerability Assessment)
3. Traffic Cleaning Service
해설:
1. 패치 관리(Patch Management)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나 운영체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취약점 평가(Vulnerability Assessment)는 정보 시스템의 취약점을 식별, 평가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3. 트래픽 클리닝 서비스(Traffic Cleaning Service)는 DDoS 공격 시 비정상 트래픽을 걸러내고 정상 트래픽만 전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입니다.
회차: 2023-1회차 문제: 4번
회차: 2023-1회차의 4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괄호안에 들어가는 용어의 Full Name을 작성하시오.XML 기반의 오픈 표준의 웹 서비스 프로토콜인 ( )는 플랫폼이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이며, 응용 프로그램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코드: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해설: SOAP은 HTTP, HTTPS, SMTP 등을 통해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OAP은 플랫폼 독립적이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분산 환경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해설: SOAP은 HTTP, HTTPS, SMTP 등을 통해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OAP은 플랫폼 독립적이며, 프로그래밍 언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분산 환경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회차: 2023-1회차의 4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의 약자를 작성하시오.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화면의 전환 없이 비동기적으로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동적으로 화면을 갱신하는 기술 코드: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해설: AJAX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웹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도 필요한 부분만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 습니다.
해설: AJAX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웹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웹 페이지의 일부분만 갱신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웹 페이지 전체를 다시 로딩하지 않고도 필요한 부분만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 습니다.
회차: 2023-1회차의 4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중 올바른 설명을 모두 고르시오.가 | Servlet은 Java 언어로 구현된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
---|---|
나 | JSP는 HTML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
다 | JSP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며, Servlet은 서버 측에서 실행된다.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가, 나
해설:
가: 맞습니다. Servlet은 Java 언어로 작성된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나: 맞습니다. JSP는 HTML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다: 틀립니다. JSP와 Servlet 모두 서버 측에서 실행됩니다. JSP는 Servlet으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해설:
가: 맞습니다. Servlet은 Java 언어로 작성된 서버 측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나: 맞습니다. JSP는 HTML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다: 틀립니다. JSP와 Servlet 모두 서버 측에서 실행됩니다. JSP는 Servlet으로 변환되어 실행됩니다.
회차: 2023-1회차 문제: 8번
회차: 2023-1회차의 8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중 컴퓨터 시스템에 피해를 주는 악성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1. 키로거 | 2. 백도어 |
3. 애드웨어 | 4. 디스크 조각 모음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4. 디스크 조각 모음
해설: 디스크 조각 모음은 하드 디스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며, 악성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키로거는 키보드 입력을 몰래 기록하는 악성 프로그램이고, 백도어는 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애드웨어는 광고를 강제로 표시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해설: 디스크 조각 모음은 하드 디스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며, 악성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키로거는 키보드 입력을 몰래 기록하는 악성 프로그램이고, 백도어는 정상적인 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애드웨어는 광고를 강제로 표시하는 악성 프로그램입니다.
회차: 2023-2회차 문제: 12번
회차: 2023-2회차의 12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내용에서 설명하는 문제에 대해 보기에 알맞는 답을 골라 작성하시오. (1) 은/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을 주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이며, 모든 인터넷 연결에 사용된다. (2) 은/는 특정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 한꺼번에 대량의 트래픽을 보내 해당 사이트의 서버에 과부하를 주고, 웹 사이트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의 한 방법이다. (3) 은/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중 하나로 장치로부터 장치와 프로그램으로부터 프로그램으로의 통신을 제공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4) 은/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주요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이 없는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데이터그램 모드로 전송되며,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하지 않으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 (5) 은/는 DDoS나 웜 바이러스 등을 막아내는 침입차단 시스템이다. 자신을 보호하려는 네트워크 앞단에 위치하며 내, 외부로 오가는 모든 트래픽을 검사하여 비정상적 트래픽을 사전에 차단하고, 침입 징후를 사용자에게 실 시간 경고한다. 보기 IPS, TCP, UDP, DDoS, IP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 TCP
2. DDoS
3. UDP
4. IP
5. IPS
해설:
(1) TCP는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을 주고 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이다.
(2) DDoS는 대량의 트래픽을 보내 서버에 과부하를 주고 웹 사이트의 정상 기능을 방해하는 공격 방법이다.
(3) UDP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장치간, 프로그램간 통신을 제공한다.
(4) IP는 신뢰성 없는 프로토콜로 데이터그램 모드 전송,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등의 특징이 있다.
(5) IPS는 DDoS, 웜 바이러스 등을 막는 침입차단 시스템이다.
회차: 2024-2회차 문제: 6번
회차: 2024-2회차의 6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Python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코드를 읽고 알맞는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코드:def fnCalculation(x, y):
result = 0
for i in range(len(x)):
if x[i:i+len(y)] == y:
result += 1
return result
a = "abcabcabcabc"
p1 = "abc"
p2 = "cab"
out = f"{fnCalculation(a,p1)}:{fnCalculation(a,p2)}"
print(out)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4:3
해설: 주어진 코드에서 fnCalculation 함수는 문자열 x에서 문자열 y가 몇 번 등장하는지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첫 번째 fnCalculation(a,p1) 호출에서는 문자열 "abcabcabcabc"에서 "abc"가 4번 등장하므로 4를 반환합니다. 두 번째 fnCalculation(a,p2) 호출에서는 문자열 "abcabcabcabc"에서 "cab"이 3번 등장하므로 3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최종 출력 결과는 "4:3"이 됩니다.
해설: 주어진 코드에서 fnCalculation 함수는 문자열 x에서 문자열 y가 몇 번 등장하는지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첫 번째 fnCalculation(a,p1) 호출에서는 문자열 "abcabcabcabc"에서 "abc"가 4번 등장하므로 4를 반환합니다. 두 번째 fnCalculation(a,p2) 호출에서는 문자열 "abcabcabcabc"에서 "cab"이 3번 등장하므로 3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최종 출력 결과는 "4:3"이 됩니다.
회차: 2024-2회차의 6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Python에 대한 문제이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코드의 빈칸을 채우고 출력 결과를 작성하시오.A | B | C |
---|---|---|
10 | 20 | 30 |
A = 10
B = 20
C = 30
print(f"{A} + {B} = {C}")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0 + 20 = 30
해설: 주어진 표에서 A, B, C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는 10, B는 20, C는 30입니다. 코드에서는 f-string을 사용하여 A, B, C 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포함시켜 출력합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10 + 20 = 30"이 됩니다.
해설: 주어진 표에서 A, B, C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는 10, B는 20, C는 30입니다. 코드에서는 f-string을 사용하여 A, B, C 변수의 값을 문자열에 포함시켜 출력합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10 + 20 = 30"이 됩니다.
회차: 2023-2회차 문제: 20번
회차: 2023-2회차의 20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를 작성하시오. 1.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는 기법이다. 구조적 테스트 기법이라고도 하며,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와 경로를 테스트하며, 모든 경로를 최소한 한번은 수행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다. if문, while문, for문 등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분기가 발생할 경우 구문 내 논리 조건이 참/거짓인 경우를 모두 테스트하여 완전한 테스트 케이스 설계가 가능하다. 2.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테스트 단계에 해당하며, 통합된 모듈들이 통합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이다. 통합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통합된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단위 테스트 이후 수행된다. 하향식 통합 테스트, 상향식 통합 테스트, 혼합식 통합 테스트 등의 방식이 존재한다.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 구조 기반 테스트
2. 통합 테스트 해설: 1. 구조 기반 테스트는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대표적인 기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모든 논리적 경로를 테스트하여 내부 구조를 확인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2.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 이후 통합된 모듈이나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테스트 단계입니다. 하향식, 상향식, 혼합식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1. 구조 기반 테스트
2. 통합 테스트 해설: 1. 구조 기반 테스트는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대표적인 기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모든 논리적 경로를 테스트하여 내부 구조를 확인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2.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 이후 통합된 모듈이나 컴포넌트 간의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을 검증하는 테스트 단계입니다. 하향식, 상향식, 혼합식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회차: 2023-2회차 문제: 13번
회차: 2023-2회차의 13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 보기 안에 알맞는 답을 골라 작성하시오. 코드: ( 1 ) 프레임은 여러 개의 정보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필드는 명령과 응답을 위해 사용되며, 정보 필드는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한다.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는 프레임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 2 ) 모드는 두 개의 독립된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여 전이중 통신을 제공한다. 각 링크는 자체적인 제어 정보를 가지고 있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 3 ) 은/는 두 개의 장치 간에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통신한다. 두 장치는 모두 명령과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 4 ) 은/는 기본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로,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여러 논리적 데이터 링크를 하나의 물리적 링크 상에서 다중화한다. ( 5 ) 프레임은 전송 시퀀스 번호와 수신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수신자는 수신한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확인하여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보기 ㄱ. SDLC ㄴ. HDLC ㄷ. 전이중 ㄹ. 반이중 ㅁ. NRM(Normal Response Mode) ㅂ. ABM(Asynchronous Balanced Mode) ㅅ.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ㅇ. 정보 ㅈ. 슈퍼버이저 ㅊ. 명령/응답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1. ㅇ
2. ㄷ
3. ㅂ
4. ㅅ
5. ㅊ
해설: SDLC 프레임은 정보 필드, 제어 필드, FCS 필드 등으로 구성된다. 전이중 모드는 두 개의 독립된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ABM 모드에서는 두 장치가 대등한 관계로 명령과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LAPB는 SDL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한다. 명령/응답 프레임은 전송 및 수신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1. ㅇ
2. ㄷ
3. ㅂ
4. ㅅ
5. ㅊ
해설: SDLC 프레임은 정보 필드, 제어 필드, FCS 필드 등으로 구성된다. 전이중 모드는 두 개의 독립된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ABM 모드에서는 두 장치가 대등한 관계로 명령과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LAPB는 SDL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한다. 명령/응답 프레임은 전송 및 수신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회차: 2023-2회차의 1번 문제의 예제입니다.
문제: 다음은 C언어 코드의 문제이다. 보기의 조건에 맞도록 괄호 안에 알맞은 코드를 작성하시오. 보기 입력값이 12345일 경우 출력값이 32154로 출력되어야 한다. 코드:int main(void) {
int n[5];
int i;
for (i = 0; i < 5; i++) {
printf("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
scanf("%d", &n[i]);
}
for (i = 0; i < 5; i++) {
printf("%d", ( ) );
}
return 0;
}
정답 및 해설보기
정답: n[(i+2) % 5]
해설: 입력값의 각 자리 숫자를 2만큼 뒤로 이동시켜 출력하기 위해서는 인덱스에 2를 더한 후 5로 나눈 나머지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인덱스가 4를 초과할 경우 0 또는 1로 순환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해설: 입력값의 각 자리 숫자를 2만큼 뒤로 이동시켜 출력하기 위해서는 인덱스에 2를 더한 후 5로 나눈 나머지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인덱스가 4를 초과할 경우 0 또는 1로 순환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728x90
'정보처리기사 > 실기 예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7 (0) | 2024.09.27 |
---|---|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6 (5) | 2024.09.26 |
정보처리기사 실기 AI로 생성한 예제문제 2024-09-25 (1) | 2024.09.25 |